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IT & 데이터 사이언스/환경설정 및 기타사항들23

[환경설정] Ubuntu SSH 설정방법 및 ID/PW로 접속하기 안녕하세요. 바른호랑이입니다.이번 게시글에서는 Ubuntu Server 설치하고 SSH 접속을 허용한 후 ID/PW로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을 지칭합니다. 즉,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하나로 인터넷과 같은 Public Network를 이용해 통신을 할 경우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일반적으로 22번 포트를 사용하여 통신을 하며 Linux계열의 OS를 사용할 경우 주로 사용하게 되는 통신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사용처1. 데이터 전송(Github: 원격 저장소, 소스 코드를 push할 때 SSH를.. 2024. 6. 28.
[환경설정] VSCode Remote SSH 사용법 안녕하세요. 바른호랑이입니다.이번 게시글에서는 VS Code를 기반으로 SSH를 사용하여 Linux 서버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Linux가 설치된 가상머신(VM)이나 외부 컴퓨터를 접속하려고 하는 경우, 보통 SSH(Secure SHell,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여 명령을 실행하고 정보를 보고 받을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를 이용합니다. 일반적으로 22번 포트를 통해 통신을 하기에 서버의 22번 포트가 오픈되어 있다면 Windows의 CMD만으로도 접속이 가능하고, 보다 원활한 관리를 위해서 SSH 통신을 지원하는 Xshell, PuTTY, MobaXterm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위의 프로그램들도 많은 기능들을 지원하기는 하지만 VS Co.. 2024. 6. 27.
[환경설정] Azure VM(Windows) 생성 및 연결 방법 안녕하세요. 바른호랑이입니다.이번 게시글에서는 Azure의 서비스 중 하나인 Azure Virtual Machine을 Windows 운영체제로 생성하고,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VM은 서버통합, 개발 및 테스트 환경 만들기, DevOps지원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상황과 필요에 맞게 VM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VM의 정의, 용도, 필요성과 같은 부분들은 이번 게시글에서는 다루지 않을 예정이며,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인 Azure에서 VM을 어떻게 생성하고 외부에서 어떻게 연결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만 다뤄볼 예정입니다. AWS에서 VM을 생성하는 방법 또한 큰 틀에서는 차이가 없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Azure VM 생성 방법1. Azure Port.. 2024. 6. 25.
[환경설정] 프로젝트에서 .env 파일 이용하기 안녕하세요. 바른호랑이입니다.이번 게시글에서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에 .env를 사용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웹사이트와 같은 서비스를 개발하다 보면 DB의 이름이나 비밀번호와 같이 개발환경과 운영환경에서 가져가야 하는 값들이 달라지거나 Git과 같은 버전관리 툴에 공유되면 안 되는 민감정보들이 필연적으로 생성되게 됩니다. 개발환경에서는 단순히 값 그 자체를 적어놓아도 문제가 없을 수도 있지만 배포단계에서 값이 바뀌었을 경우, 그에 맞춰 코드를 수정하고 재배포를 해줘야 하는 문제들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특히, Secret Key나 관리자 계정정보와 같은 값들이 노출되면 사이트가 해킹당할 수도 있기에 이와 같은 민감정보들은 반드시 .env와 같은 별도의 파일로 관리해 주는 것.. 2024. 6. 24.
[환경설정] Azure VM(Ubuntu) 생성 및 연결 방법 안녕하세요. 바른호랑이입니다.이번 게시글에서는 Azure의 서비스 중 하나인 Azure Virtual Machine을 Ubuntu 운영체제로 생성하고,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VM은 서버통합, 개발 및 테스트 환경 만들기, DevOps지원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상황과 필요에 맞게 VM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VM의 정의, 용도, 필요성과 같은 부분들은 이번 게시글에서는 다루지 않을 예정이며,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인 Azure에서 VM을 어떻게 생성하고 외부에서 어떻게 연결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만 다뤄볼 예정입니다. AWS에서 VM을 생성하는 방법 또한 큰 틀에서는 차이가 없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Azure VM 생성 방법1. Azure Porta.. 2024. 6. 24.
[환경설정] Ubuntu 세팅 및 pyenv, virtualenv 설치 안녕하세요. 바른호랑이입니다.이번 게시글에서는 ubuntu에서 python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세팅 및 pyenv, virtualenv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가상환경을 통한 ubuntu설치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게시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VMware Workstation Pro활용한 Ubuntu VM 설치 및 세팅 [환경설정] VMware Workstation Pro활용한 Ubuntu VM 설치 및 세팅안녕하세요. 바른호랑이입니다.이번 게시글에서는 VMware Workstation Pro프로그램에 VM을 생성한 후 Ubuntu를 설치하고 초기세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해당 게시글의 내용을 이해하기data-is-power.tistory.comubuntu를.. 2024. 6. 18.
[환경설정] VMware Workstation Pro활용한 Ubuntu VM 설치 및 세팅 안녕하세요. 바른호랑이입니다.이번 게시글에서는 VMware Workstation Pro프로그램에 VM을 생성한 후 Ubuntu를 설치하고 초기세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해당 게시글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VMware Workstation Pro 설치가 선행되어야 하며, 설치 시 나오는 여러 옵션들은 기존에 제공되었던 VMware Workstation Player와 동일하니 보다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신 분들은 이전 게시글들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VMware Workstation을 활용한 가상화 환경 설정 [환경설정] VMware Workstation을 활용한 가상화 환경 설정안녕하세요. 바른호랑이입니다.이번 게시글에서는 가상화 환경을 설정할 수 있게 해주는 Vmware Worksta.. 2024. 6. 15.
[환경설정] VMware Workstation Pro 다운로드 및 설치 안녕하세요. 바른호랑이입니다.이번 게시글에서는 VMware Workstation Pro 다운로드 및 설치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기존에 비상업적, 개인적인 사용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센스로 VMware Workstation Player가 제공되었었는데 2024년 4월 30일 이후로 해당 제품의 판매가 중단되고 Pro 라이센스에서도 설정을 통해 개별사용이 가능하게 변경되었습니다. 다만 install 파일 다운로드를 위해서는 회원가입이 필요하게 변경되었으니 참고바랍니다. 세부적인 설치 방법은 아래와 같으며, Windows와 Ubuntu 운영체제의 ISO파일은 기존의 게시글의 링크 또는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VMware Workstation을 활용한 가상화 환경 설정  [환경설.. 2024. 6. 14.
[환경설정] Amazon Web Services 가입하기 안녕하세요. 바른 호랑이입니다.이번 게시글에서는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중 하나인 AWS(Amazon Web Services)에 가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예정입니다. AWS는 신규회원에 한해서 Free Tier라는 서비스를 제공해주며, 이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12개월 동안 특정 서비스들을 무료로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해당 기간동안은 과금이 되지 않는 선에서 테스트가 가능하지만, 자칫하면 요금이 부과될 수 있으니 해당부분은 Amazon에서 제공하는 문서를 참조하여 잘 확인 후 이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해당 서비스를 잘 이용하면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실습과 간단한 프로젝트 진행시 활용할 수 있으니 계정 생성 후 유용하게 이용하면 되겠습니다. Free Tier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문서를 확.. 2023. 7.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