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 데이터 사이언스/환경설정 및 기타사항들

[환경설정] Azure VM(Ubuntu) 생성 및 연결 방법

by 바른 호랑이 2024. 6. 2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바른호랑이입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Azure의 서비스 중 하나인 Azure Virtual Machine을 Ubuntu 운영체제로 생성하고,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

VM은 서버통합, 개발 및 테스트 환경 만들기, DevOps지원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상황과 필요에 맞게 VM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VM의 정의, 용도, 필요성과 같은 부분들은 이번 게시글에서는 다루지 않을 예정이며,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인 Azure에서 VM을 어떻게 생성하고 외부에서 어떻게 연결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만 다뤄볼 예정입니다. AWS에서 VM을 생성하는 방법 또한 큰 틀에서는 차이가 없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Azure VM 생성 방법

1. Azure Portal에 접속 후 검색 창에 Virtual Machine을 검색한 후 Create를 클릭하여 신규 VM을 생성합니다.

2. 상황에 맞게 VM에 적용할 Option들을 선택한 후 Review + Create를 클릭하고, 최종적으로 Create를 클릭하고 생성될 때까지 대기합니다.(접속방법을 SSH key pair로 설정했다면 반드시 private key를 접속 시에 사용하기에 해당 키를 다운로드하여 적절한 위치에 저장해야 합니다.)

- 주요 설정들

ㆍSubscription: VM 생성에 사용할 Subscription 선택
ㆍResource Group: VM 생성에 사용할 Resource Group 선택
ㆍVirtual machine name: 생성할 VM이름 설정 
ㆍRegion: VM이 생성될 지역 선택
ㆍImage: VM에 설치할 OS 관련사항 설정
ㆍSize: VM 성능과 관련된 사항으로 필요에 맞게 설정
ㆍAuthentication type: 인증 타입을 선택하는 설정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

(속도와 보안성을 위해 SSH public key, Generate new key pair로 설정진행하였음.)
ㆍUsername: VM에서 사용할 admin계정 명칭
ㆍSSH public key source, SSH Key Type, Key pair name: SSH Key Type과 관련한 설정
ㆍPublic inbound ports: 공용망에서 접근 허용여부 선택
ㆍSelect inbound ports: 공용망에서 접근 시 사용할 포트 선택(이후 변경 가능함.)

(SSH를 통해 접속할 예정이기에 22번 포트만 개방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설정변경진행)

3. 다운로드한 private key와 생성된 후 확인가능한 IP 주소를 활용하여 cmd로 접속을 진행합니다.

+ cmd로 ssh를 활용하여 VM에 접속해도 상관은 없으나 보다 편리하게 접속 및 관리를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여러 Tool들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MobaXterm이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아래와 같이 접속 후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MobaXterm 다운로드 사이트

 

MobaXterm free Xserver and tabbed SSH client for Windows

The ultimate toolbox for remote computing - includes X server, enhanced SSH client and much more!

mobaxterm.mobatek.net

# cmd에서 ssh로 원격 VM 접속하는 방법
ssh -i {private key파일위치} {VM 생성시 설정한 admin계정}@{ip주소}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