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방송통신대학교13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4강. SQL (1) 방송통신대학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강의 정리 자료입니다.  1. 데이터베이스 언어의 이해데이터베이스 사용의 의미: 파일 처리 시스템의 경우 애플리케이션과 파일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구조였기에 명확한 한계가 존재했었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 한 것이 중간에서 데이터를 처리해주는 DBMS임. 데이터의 사용과 관리가 분리됨에 따라 이를 연결해줄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언어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가장 대표적인 것이 SQL임.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의 개념: 관계 대수에 기초해 RDMBS의 데이터 관리를 위해 1970년대 초 IBM에서 설계한 언어임. 1986년 ANSI로, 1987년 ISO에서 표준으로 제정되어 국제 표준이 되었으며, 상용 DBMS의.. 2025. 3. 1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3강. 관계형 모델 방송통신대학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강의 정리 자료입니다.  1. 관계형 모델의 개념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단계: DBMS의 구현 모델(데이터의 저장, 인출 방법을 명시)에 맞춰 데이터의 구조를 표현하는 과정을 지칭하며, 데이터 정의 언어로 기술된 개념스키마를 생성하는 단계임. 일반적으로 관계형 모델(relational model)많이 사용되며, 아래와 같은 특징들을 가짐.- 1969년 에드가F.코드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릴레이션(relation)으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모델임.- 데이터의 표현이 단순하고 직관적인 구조화 모델이며, 대다수의 DBMS의 기초로 Oracle, DB2, PostgreSQL, MySQL, MSSQL등이 대표적인 관계형 모델을 사용하는 RDBMS임. 릴레이션(relation)의 구성: .. 2025. 3. 1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2강.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방송통신대학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강의 정리 자료입니다.  1.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의 이해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의 필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은 비즈니스적 관점(어떤 데이터를 저장해서 활용해야하는가?와 관련된 내용)에서 IT적 관점(어떻게 데이터를 저장해야하는가?와 관련된 내용)으로 이어짐. 즉,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이란 데이터의 의미를 파악하고 데이터와 관련 업무 프로세스를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분석하는 작업으로 총 4단계로 이루어짐.사용할 데이터를 선별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저장, 사용할 방법이 필요하기에 데이터 모델(데이터의 의미, 타입, 연산등을 명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개념의 집합)을 활용하여 처리함.데이터 모델링이란데이터에 대한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추상화하는 과정으로 .. 2025. 3. 1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강. 데이터베이스의 이해 방송통신대학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강의 정리 자료입니다. 전통적인 데이터 관리 방법 - 파일처리시스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이 파일들을 각각 관리하는 방식의 시스템이었음.파일처리 시스템의 문제- 데이터 종속의 문제 / 데이터 중복의 문제 / 무결성 훼손의 문제 / 동시접근의 문제 데이터베이스는 애플리케이션이 직접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하지 못하게 만들고 중간에서 브로커 역할을 하며 파일처리시스템의 한계를 해결하였음. 예를들어 축제 참가자 명단을 엑셀과 같은 파일로 관리할 경우, 수정한 최종본을 찾는 문제와 데이터 업데이트시 연계된 파일들의 정확한 데이터 갱신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움. 데이터의 양이 적을 경우 관리하는데 문제가 없을 수도 있으나 데이터 양이 증가할 경우 이를 관리하기는 매우 어려움. 지하철 도착시.. 2025. 3. 11.
728x90
반응형